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알고스팟
- 개발자로살아남기
- 데이터유통
- clean code
- 데이터야놀자
- 박종천
- 2017회고
- 실전사례
- 클린코드
- Raw-Request-URI
- hackercup2017
- 회고
- 개발7년차매니저1일차
- 2016년회고
- 테스트주도개발
- coursera
- 켄트백
- 해커컵
- 데이터레이크
- kafka
- 동시성
- functional thinking
- spray
- 코딩인터뷰
- 개발자
- 함수형 사고
- 데이터플랫폼
- 단위테스트
- wait region split
- datalake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97)
Software Engineering Note
최근에 진행한 프로젝트에서 처음으로 프로젝트 리더를 맡았다. 끝나고 나니 뭐 특별한게 있었을까 싶지만 어쨌든 경험을 공유해보고자 한다. 내 상황은 다음과 같았다. 프로젝트의 성격은 전환성이었다. 기존에 있던 시스템을 새로운 시스템으로 전환하는일직접 프로젝트를 진행한 참여인원은 나 포함 2명. 그런데 관련 시스템이 있어서 협업은 총 4명나만 근무지가 판교였고, 나머지 인원은 모두 제주도였다. 프로젝트 리더의 역할 프로젝트 리더라고 해서 어떤 지위적인 우위를 의미하는건 아니다. (특히 kakao 같은 수평문화를 지향하는 조직에서는 더더욱) 주로 개발외에 다음과 같은 일을 담당했다. 주간회의 시간에 진행상황을 정리하고 공유한다.기술셋을 정하고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를 잡는다.계획을 세우고 정리한다. (이번주기에..
페북 타임라인에 회자되길래 구입한 책. 구입한지는 꽤 되었는데 이제서야 다 읽었다. 전체적으로 필체가 강력하다고 해야할까? "~하면 안된다. 그건 프로페셔널이 아니다." 이런 문구가 자주 등장한다.아주 대쪽같은 선비가 훈계를 하는 그런 느낌이랄까? 덕분에 정신이 번쩍나는 기분도 느낄 수 있었다. 저자는 브라질 출신으로 어릴적부터 프로그래밍을 해왔다고 한다.그러다 유럽으로 가서 일을하고싶어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직업으로 선택하게 되었고, 그 이후로 자신이 전문가로 거듭나게 된 이야기를 간간히 섞어서 이야기 해준다. 예를 들면, 그 당시에는 난해한 코드를 짜서 코드를 읽는 사람들을 곤란에 빠뜨리는게 실력이 좋은 것으로 인정 받았었는데, 사수를 만나서 까인(?) 경험이 충격이었다고. 결국, 개발문화가 잘 정착되..
https://www.google.com/about/careers/students/guide-to-technical-development.html 구글에서 제시한 학습(?) 가이드. 요즘 온라인 코스가 많이 생겨서 공부하기 참 좋은 환경이 되어가고 있다. 대학때 제대로 학습을 못한 경우도 있고 (나도 그렇고..) 현업에서는 기초를 다질 시간이 많지않기때문에 시간을 내서 수강해두면 좋을것같다. Take an “Introduction to CS” courseFocus on basic coding instructionsOnline resources:Udacity - Introduction to Computer ScienceCoursera - Computer Science 101Code in (at le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