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단위테스트
- datalake
- 테스트주도개발
- 데이터플랫폼
- 데이터야놀자
- 함수형 사고
- 회고
- clean code
- 동시성
- 개발자로살아남기
- 박종천
- hackercup2017
- 2016년회고
- Raw-Request-URI
- kafka
- 켄트백
- 해커컵
- spray
- 데이터레이크
- 개발자
- 클린코드
- wait region split
- coursera
- 실전사례
- 알고스팟
- 데이터유통
- 개발7년차매니저1일차
- 코딩인터뷰
- 2017회고
- functional thinking
- Today
- Total
Software Engineering Note
kafka 소개 본문
apache kafka
home: http://kafka.apache.org/
github: https://github.com/apache/kafka
kafka 홈에 가보면 "A high-throughput distributed messaging system." 이렇게 소개하고 있다.
처음에는 큐라고 생각하고 접근했는데 큐보다는 훨씬 더 광범위한 기능을 가진, 그야말로 분산 메시징 시스템이다.
kafka에는 몇가지 개념이 있는데 대략 이런 것들이 나온다.
원문
First let's review some basic messaging terminology:
- Kafka maintains feeds of messages in categories called topics.
- We'll call processes that publish messages to a Kafka topic producers.
- We'll call processes that subscribe to topics and process the feed of published messages consumers..
- Kafka is run as a cluster comprised of one or more servers each of which is called a broker.
topic
말 그대로 주제. topic을 만들면 topic에 관심이 있는 consumer 들이 메시지를 가져갈 수 있다.
또, 하나의 토픽은 파티션이라는 단위로 나누어 분산 시킬 수 있고, 복제까지 해둘 수 있다.
producer
메시지를 넣어주는 애들
consumer
메시지를 소비하는 애들
broker
메시지를 저장하고 분산하고.. 해주는 서버들. 얘들이 모여 kafka cluster를 구성한다.
consumer group
consumer 들을 그룹핑한 개념이다.
같은 consumer group에 들어있는 consumer들은 같은 메시지 모음을 처리하게 된다.
그러니까 consumer group이 다르면, 같은 topic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처리가 가능하다는 말이다.
한국어로 잘 설명된 블로그가 있다. 여기부터 읽어가면 된다.
'솔루션 > kafka' 카테고리의 다른 글
kafka send large message (0) | 2020.05.07 |
---|---|
kafka simple consumer (0) | 2015.09.06 |